최근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 내부의 불화가 점점 더 심각해지고 있다. mcw 꽁머니 스포츠 기자에 따르면, 커 스티브 감독과 구단 수뇌부는 현재의 혼란한 상황에 뚜렷한 해답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무엔 눈이 없지만, 낙엽은 눈물처럼 떨어진다”는 말처럼, 지금의 워리스는 과거와 완전히 딴판이 된 모습이다. 전력의 핵심은 그대로인데, 팀의 분위기와 정신력은 왜 이렇게까지 달라졌을까.
이러한 변화는 갑작스럽게 시작된 것이 아니라, 이미 예전부터 조짐이 보였다. 많은 팬들과 전문가들은 그 변곡점을 ‘드레이먼드 그린의 조던 풀 폭행 사건’으로 보고 있다. 그 이후 워리어스의 대응은 혼란스러웠다. 푸얼을 다독이는 것은 예상 가능한 일이었지만, 정작 그린에게는 아무런 징계 없이 오히려 대형 계약을 안겨줬다. 이는 팬들은 물론 리그 전체에 의문을 던졌고, 이후에도 그린은 거친 플레이와 비신사적인 행동을 이어가며, 결국 리그로부터도 보호받지 못하는 처지가 되었다.
워리어스와 커리, 그리고 커 감독이 그린을 끝까지 감싸려 한 행동은 결국 팀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물론 NBA는 실력으로 말하는 리그다. 그린이 제 역할을 해낸다면 논란은 덮였을 수도 있었다. 그러나 그의 행동은 팀 내 세대 간 갈등을 촉발했고, 푸얼은 계약을 따낸 뒤 주전 자리를 놓고 경쟁에 불을 지폈으며, 와이즈먼은 대놓고 출전 기회 부족에 불만을 드러냈다. 결국 두 선수는 트레이드로 팀을 떠났고, mcw 꽁머니 그룹에 따르면 현재 쿠밍가는 코칭 스태프의 전술에 불만을 토로하고 있고, 무디 역시 중용되지 못한 현실에 좌절하고 있다.
신구 세력의 충돌은 워리어스 하락세의 핵심 요인이 되었다. 위긴스는 “이제는 팀 분위기가 전과 다르다”고 말했으며, 자신이 연봉을 줄이면서까지 팀에 남은 이유는 푸얼을 붙잡기 위해서였다고 밝혔다. 그러나 푸얼이 곧바로 트레이드되면서, 위긴스 역시 마음이 식어버렸다. 위긴스는 원래 선수 경력 중 ‘트레이드’를 가장 싫어한다. 데뷔 시즌 르브론 제임스의 복귀와 함께 무려 트레이드로 팀을 떠났던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과거의 상처는 그에게 트라우마로 남아 있고, 이후 경기력에도 영향을 미쳤다. 그런데도 워리어스는 부끄러움 없이 그린과 클레이 톰슨을 계속해서 붙잡을 계획임을 공공연히 밝히고 있다. 이런 기조에서는 젊은 선수들이 팀을 더 이상 신뢰하지 않게 되고, 점차 태업에 가까운 플레이나 트레이드 요청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젊은 인재를 잡지도 못하고, 외부에서 스타를 영입하지도 못하는 이 상황은, 워리어스가 현재와 미래 모두를 잃게 되는 지름길이다.
과거 커리가 득점왕을 차지했던 시즌조차, 워리어스는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한 적이 있다. 커리의 뛰어남은 곧 팀의 성공으로 직결되지 않는다. 커리는 위대한 선수지만, 팀의 하한선과 상한선을 좌우하는 절대적인 존재는 아니었다. “스스로를 존중해야 남도 존중해준다”는 말처럼, 팀이 먼저 자신을 되돌아봐야 할 시점이다.
mcw 꽁머니 기자는 커 감독 또한 예외는 아니라고 말한다. 최근 몇 년간 최고의 감독이라는 평가를 받았지만, 그 이면에는 ‘그만큼 로스터가 강했기 때문’이라는 냉정한 분석도 존재한다. 지금 워리어스는 그 어느 때보다도 리더십의 방향성과 선수단의 균형이 절실한 상황이다.